주식 투자/미국 주식

차지포인트 주가 전망 - 재무 분석, 적정 주가, 목표 주가 등

강냉이콘 2025. 1. 17. 08:00
728x90

 

 

전기차 충전소의 글로벌 리더로 주목받고 있는 차지포인트의 실적과 주가 전망을 살펴봅시다.

 

 

기업 개요 및 주요 매출

차지포인트(ChargePoint)는 전기차 충전소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세계적인 기업으로,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성장과 함께 주요 시장에서의 입지를 넓히며 미래 전기차 시장의 핵심 기업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주요 매출원

  • 전기차 충전 네트워크의 설치 및 운영
  • 충전소 하드웨어 판매
  • 소프트웨어 구독 서비스 제공

 

차지포인트는 이러한 매출원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시장 확장을 통해 글로벌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선도 기업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현재 및 최근 주가 흐름 분석

출처: Google 금융

 

 

최근 차지포인트의 주가는 하락세를 보이며 현재 $1.05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약 41.67% 하락했으며, 52주 변동폭은 $1.02에서 $2.44로 나타납니다. 이는 전반적인 시장 약세와 더불어 재무 성과의 부진이 반영된 결과로 보입니다.

 

☞ 주가 흐름 포인트

  • 주가 하락 배경: 재무 실적 악화와 시장의 투자 심리 위축.
  • 52주 최저가: $1.02 / 52주 최고가: $2.44.
  • 최근 주가 하락세는 투자자들이 실적 부진에 대한 우려를 반영한 결과.

 

재무 실적 및 이슈 체크

[재무 실적 체크]

출처: 네이버페이 증권

 

2024년 10월 기준 차지포인트의 재무 실적은 여전히 부진한 상황입니다.

 

주요 실적 요약

  • 매출: 1,454.93억 원 → 전분기 대비 소폭 감소.
  • 영업이익: -995.63억 원 → 적자 지속.
  • 순이익: -1,133.28억 원 → 순손실 확대.
  • 영업이익률: -68.43% → 여전히 마이너스 흐름.

 

☞ 재무 실적 포인트

  • 적자 지속: 매출은 소폭 감소했지만 영업이익 및 순이익 적자가 여전히 큰 폭으로 이어지고 있음.
  • 비용 구조 개선 필요: 높은 운영 비용과 마진 악화가 재무 구조를 악화시키고 있음.

 

출처: 네이버페이 증권

 

[EPS 추이]

 

차지포인트의 EPS(주당순이익)는 2024년 한 해 동안 지속적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업의 수익성이 낮고, 추가적인 재정적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최근 분기의 EPS는 약 $-0.2로 나타났으며, 이는 1년 전보다 약간 개선된 수치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이익 실현에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 EPS 포인트

  • 지속적인 적자 EPS → 주가 상승을 위한 재무적 개선이 필요.
  • 단기적으로 이익 구조 개선의 가시적인 성과가 나오기 어려운 상황.

 

 


  

[이슈 체크]

  • 전기차 시장 성장: 전기차 시장은 성장하고 있으나, 경쟁 심화와 충전소 수익 모델의 한계가 차지포인트의 주요 과제로 남아있습니다.
  • 비용 구조와 투자: 인프라 확장을 위해 막대한 초기 투자 비용이 계속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영업손실 확대의 주요 원인입니다.
  • 글로벌 확장 가능성: 유럽과 아시아 시장에서의 확장은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나, 지역별 규제와 경쟁이 걸림돌이 될 수 있습니다.

 

 

적정 주가 및 목표 주가 체크

● 적정 주가 → $1.10 ~ $1.30

차지포인트의 적정 주가는 PSR(주가매출비율)을 기준으로 산출했습니다. 현재 PSR과 매출 증가 가능성을 반영한 보수적인 접근으로 약 $1.10 ~ $1.30의 적정 주가를 추정했습니다.

 

● 목표 주가 → $1.50 ~ $1.80

목표 주가는 향후 매출 증가와 비용 구조 개선 가능성을 반영한 결과입니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성장 잠재력과 함께, 효율적인 비용 관리가 수반된다면 주가 상승 여력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종합 의견

☞ 투자 포인트

  •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장의 성장을 고려한 투자.
  • 단기적으로는 실적 개선과 비용 절감의 가시적인 성과가 나올 때까지 신중한 접근 필요.

☞ 리스크 요인

  • 지속적인 적자와 높은 투자 비용.
  • 경쟁 심화로 인한 시장 점유율 감소 가능성.

 

차지포인트는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재무적 과제와 높은 경쟁력을 감안한 신중한 접근이 요구됩니다. 단기적으로는 조정 국면을 보이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시장 확대와 기술 리더십을 통해 성장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언급된 종목에 대한 의견은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투자의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며,

어떠한 결과에도 법적 책임 등에 대한 판단의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