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경제·투자 라이프/맨땅에 주식하기(Remastered.2024) (24)
맨땅에 주식하기

2020년 초 이후로 배당주 투자를 해오면서 알게 된 장점에 대해 말해 보려 합니다. 일반적인 주식 투자 방법과 배당주 투자 방법은 차이가 있습니다.전자는 시세차익을 위해 주식을 사고파는 것이라면 후자는 배당주를 모아가는 것입니다. 배당주 투자는 큰 시세 차익을 통한 짜릿한 수익의 기쁨은 없을 수 있습니다.초기에는 따박따박, 찔끔찔끔 내 계좌로 들어오는 배당금에 실망할 수 도 있을 것 같습니다 . 그렇다면 배당주 투자의 장점은 과연 무엇일까요?제가 약 4년간 유지해 온 그 투자 방법,배당주 투자의 장점 5가지를 말해보려 합니다. [배당주 투자의 장점] 1) 하루 종일 호가 창을 들여보지 않아도 됩니다 → 삶의 질 향상! 단타 혹은 스윙 기법, 테마주를 통한 주식 투자자들은 하루 종일 호가 창 ..

이번에는 배당 투자를 할 때 알아야 할 용어를 알아봅시다.'배당률', '배당성향', '배당성장률'입니다. ➡ 배당률 : 배당기준일 기준으로 배당금이 주가의 몇 퍼센트인가를 나타낸 수치: 배당률이란 1년 동안의 배당금 합계가 현재 1주 가격에 대해 몇 퍼센트인지 나타낸 값이다. ➡ 배당성향 : 당기순이익 중 배당금을 주주들에게 지급하는 비율, 배당이 잘 유지될 수 있는지 가늠하는 기준이 됨 : 배당성향이 20%라고 하면, 벌어들인 순이익 중에서 20%를 주주들에게 배당으로 지급한다는 뜻이다. 60%가 통상 적정 기준으로 삼는 배당성향 비율이라고 볼 수 있다. 100%를 초과 한다면 벌어들인 순이익 이외에 부채를 일으켜서 준다라는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기 때문에 배당성향도 유심히 잘 체크해야 한다. ..

저는 미국 배당주 투자를 합니다. 주식을 매수하여 주가가 오른 다음 팔아 시세차익을 보는 투자법이 아닙니다.배당을 주는 주식을 매수하고 보유하며 배당을 받는 것을 위주로 하는 투자법이죠. ➡ 배당 : 그 회사의 이윤을 주식을 매수한 주주에게 나눠 주는 것 가장 보수적인 투자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주가 등락에 연연하지 않고 배당을 주는 배당주를 꾸준히 모아 월 현금흐름을 만듭니다. 배당주의 특징은 다른 주식들과 달리 하락장에서도 크게 하락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그와 반대로 상승장에서도 비약적으로 상승하지 않는 특징이 있죠. 그리고 미국 주식을 추천하는 이유는 미국 주식 시장에는 거대한 시가총액을 가진 기업이 많습니다.특히 배당문화가 발달하지 않은 우리나라 주식과 달리 주주 친화적인 미국 주식은 배당..

미국 배당주 주식을 시작하고 나서부터 종종 주위 사람들은 저에게 이렇게 묻습니다. “주식을 해야 될 것 같긴 한데 나랑 맞는지 모르겠어요.” 그러면 나는 농담 반 진담 반으로 이렇게 답합니다. “주식 한 주 사보세요. 그리고 그 주가가 떨어졌을 때, 잠이 잘 오면 주식 투자를 계속하고, 잠을 못 자면 그냥 하지 않는 편이 좋을 거에요." 주식 투자를 어떻게 할지, 그리고 어떤 방법과 기준을 가지고 시작해야 할 지 모르겠을 때, 일단, 그 투자 세계에 발을 들여 직접 부딪혀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방법은 자신의 투자 성향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또한 자신만의 투자 기준과 철학을 만드는 발판이 될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주식 투자를 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이 다양합니다.매수한..

주식 투자를 하다가 종종 들어볼 수 있는 유상증자, 무상증자에 대해서 알아봅시다.일반적으로 유상증자는 주가에 안 좋은 영향을, 무상증자는 호재라고 하는데 왜 그런지 살펴봅시다.먼저, 증자라는 것을 알아봅시다. ➡ 증자 : 자본을 증가시키는 것 자산 은 부채 와 자본 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자산 중에서 자본을 증가시키는 것을 증자라고 하는데, 이것을 유상으로 자본을 늘리냐, 무상으로 자본을 늘리냐에 따라 유상증자, 무상증자로 아래와 같이 나뉩니다.➡ 유상증자 : 기업에서 새로운 주식을 더 발행해서 자본을 늘리는 것 ➡ 무상증자 : 기업에서 새로운 주식을 새로 발행하지 않으면서 자본을 늘리는 것. 그렇기에 유상증자와 같이 새로운 현금이 외부에서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재무상태표 상에서 이익금이 자본금..

부채에 대해서 말해보려고 합니다.물론 빚을 내서 주식 투자를 하라고 권하는 내용은 절대 아닙니다. ➡ 부채 : 은행 혹은 다른 회사나 사람에게서 빌려온 돈. 우리가 부채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가 무엇일까요?빚, 채무자, 파산, 빨간딱지 부정적인 관념이 대부분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부채는 긍정적인 점과 굉장한 힘을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아래를 봅시다. 부채를 단순히 빚이라는 생각 대신에, '돈을 벌기 위해 노동력을 투여한 시간을 세이브해 주는 시스템'이라고 생각해 보면 어떨까요? ➡ 시간 × 노동력 = 돈 ➡ 부채 = ‘시간 × 노동력’을 세이브하는 대신에 이자라는 사용료를 냄 위와 같이 생각해 봤을 때 부채가 마냥 나쁜 것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시간은 누구에게나 공평히 ..

친환경 에너지 등으로의 패러다임으로 넘어가는 시대입니다. 하지만, 모든 교통, 산업 등의 에너지동력이 친환경에너지로 100% 전환되지 않는 이상, 경제에 미치는 석유의 영향이 쉽게 떨어지지 않으리라 생각합니다. <p style="color: #333333; text-align: start;" data-ke-size="size1..

미국 주식을 거래할 때는 원(₩)이 아닌 달러($)로 거래를 합니다.흔히들 달러는 기축통화라는 말을 합니다.기축통화가 무엇인지 알아봅시다.그리고 외환을 거래할 때 듣게 되는 환차익에 대해서도 알아봅시다. ➡ 기축통화 : 국제 간의 결제 혹은 금융거래 시에 기본이 되는 화폐 우리나라의 통화 원(₩)은 기축통화일까요? 아닙니다. 기축통화는 국제사회에서 기준이 되는 돈입니다.그 종류로서는 달러, 유로, 엔 등이 있습니다.왠지 느껴지는 것 같이 경제 강대국의 화폐인 느낌입니다. 역사적으로 패권국의 통화가 기축통화가 됩니다.지금 패권국은 미국이니까 달러가 당연히 기축통화가 되는 것에도 무리가 없겠죠. 덧붙여, 세계 경제에서 미국의 영향력이 가장 강하니까 달러가 가장 영향력이 크다고 생각하..

어느 날, 경제 뉴스에서 다음과 같이 엥커가 멘트 합니다. "삼성전자 시가총액이 400조를 터치했습니다!" ➡ 시가총액 = 현재 발행된 주식 수 현재 주가ex) 삼성전자(우리나라 시가총액 1위) -> 5,969,782,550주 74,100원 = 약 442조(2024.02.08. 기준) 시가총액은 한 회사의 발행된 주식의 총숫자에 현재 주가를 곱한 것입니다. 시가총액의 또 다른 의미는 전체 주식 시장에서 해당 주식이 얼마나 차지하고 있는지를 나타냅니다.상기 예처럼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은 약 442조(2024.02.08 기준)라 할 수 있습니다. 주가가 상승하면 당연히 시가총액이 오릅니다. 시가총액이 크면 무겁다는 표현을 할 수도 있습니다.주가의 안정성이 어느 정도..

일반인들이 주식을 거래할 수 있도록 주식 시장에 공개되는 것이 상장이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공개되는 그 주식 시장이 어디일까요? 주식 시장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미국에서는 뉴욕증권거래소와 나스닥, 한국에선 한국거래소와 코스닥이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주식하는 사람들도 들어는 봤지만 정확히는 뭔 지 모르는 사람들이 대부분 일 것입니다. 그런데 사실은 정말 어려울 것 없이, 그냥 시장 이름입니다. ➡ 뉴욕증권거래소(New York Stock Exchange, 약칭 NYSE) : 세계 주요 기업들이 상장되어 있는 거래소이며 세계에서 가장 큰 증권 거래소입니다. 이 거래소에 상장된 기업들의 지수를 나타낸 것이 NYSE 종합지수입니다. 코카콜라, 엑손모빌, 보잉 등이 상장되어 있습니다. ➡ 나스닥(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