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땅에 주식하기

재고자산의 증가 - 영업활동 현금흐름, 의미, 해석 본문

경제 공부/재무제표 공부

재고자산의 증가 - 영업활동 현금흐름, 의미, 해석

강냉이콘 2025. 5. 20. 08:00
728x90

 

재무제표를 보다 보면 ‘재고자산의 증가’가 현금흐름표에서 마이너스(-)로 표시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게 어떤 의미일지 알아봅시다.

 

1. 재고자산의 증가란?

 

재고자산(Inventory)은 판매를 목적으로 보유한 상품, 제품, 원재료 등을 의미합니다. 이 재고자산이 ‘증가’했다는 것은, 기업이 제품을 더 많이 만들었거나, 원재료를 더 많이 사들였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의류업체 A가 여름 시즌을 앞두고 티셔츠 원단을 대량으로 구입하면, 재고자산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미래 판매’를 대비한 준비이지만, 현재 시점에서는 현금이 빠져나간 상황입니다.

 

 

2. 재고자산 증가가 현금흐름에 미치는 영향

 

재고자산의 증가는 영업활동 현금흐름(Operating Cash Flow) 계산 시 현금 유출로 간주되어 차감됩니다. 즉, 이익이 늘었더라도 재고를 많이 사들였다면 실제 현금은 줄어들 수 있습니다.

 

영업활동 현금흐름 계산 구조에서는 '당기순이익 + 비현금 항목 + 운전자본의 변동'의 방식으로 계산되며, 이 중 ‘운전자본의 변동’ 항목에 포함된 재고자산 증가는 마이너스로 반영됩니다.

 

 

3. 왜 재고자산 증가는 부정적인 신호일 수 있을까?

 

재고는 기업 활동에 필요하지만, 과도한 재고 누적은 위험이 될 수 있습니다. 팔리지 않은 제품은 창고비용, 노후화, 감가상각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이는 결국 자금의 비효율적인 운용으로 이어집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 제조사 B가 새로운 스마트폰 모델을 너무 많이 만들어놨는데 판매가 부진하다면, 재고는 쌓이고 자금은 묶여버리게 됩니다.

 

 

4. 체크 포인트

 

반대로, 성수기를 앞두고 계획적으로 재고를 늘리는 경우라면 이는 미래 수익을 위한 투자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특히 유통, 제조, 패션 산업처럼 시즌성이 강한 업종은 재고 증가가 반드시 나쁜 신호는 아닙니다.

 

따라서 투자자는 단순히 재고가 늘었다는 사실만 보지 말고 아래 사항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 재고 회전율

· 업종의 특성

· 이후 분기의 매출 흐름

 

재고자산의 증가는 단기적으로 현금 유출을 의미하며 영업활동 현금흐름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배경이 계획적인 재고 확대인지, 판매 부진으로 인한 누적 현상인지는 다른 재무지표와 함께 종합적으로 해석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재고는 늘었는데 매출은 정체되고 있다면 이는 분명히 경고 신호입니다. 반면, 재고가 늘고 동시에 매출도 증가하는 흐름이라면 건강한 운영 사이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