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땅에 주식하기
원달러환율 1,500원 돌파? - 탄핵 정국, 관세 압박, 투자 전략 본문

최근 원·달러 환율이 1,470원을 넘어섰습니다. 작년 말, 계엄 사태 이후 고환율이 유지되고 있고, 일각에서는 앞으로도 더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 예상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렇게 환율이 급등한 이유에 대한 이유와 전망, 투자 대응 전략에 대해 알아봅시다.
고환율 지속 이유 1: 지속되는 정치적 불확실성(탄핵 정국)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가 다가오면서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졌습니다. 변론이 종료됐고, 모두가 예상하던 선고 기일이 발표가 예상보다 많이 미루어져, 정치적 불확실성이 계속 높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로 인해 외국 투자자들이 한국에서 자금을 빠르게 빼내면서 원화 가치가 지속적으로 떨어지고 있는 상태입니다. 정치가 불안하면 투자 심리가 위축되고 환율은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현 한국 경제 상황에서 고환율 현상의 가장 큰 이유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고환율 지속 이유 2: 미국의 자동차 관세 정책
최근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발표한 관세 정책도 문제입니다. 미국우선주의를 표방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현하고 강경한 관세 정책으로 상대국도 보복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하여, 경제적 불확실성이 매우 고조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미국은 한국도 관세 부과 대상국에서 제외하지 않고, 자동차 25% 관세 정책을 예고했습니다. 한국 경제는 수출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데, 이 관세로 인해 큰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있죠. 실제로 트럼프 당선 이후 주요국 통화 중 원화의 가치가 가장 크게 하락했습니다.
앞으로의 환율 전망
요즘 시장 전문가들은 환율이 단기적으로 1,500원까지 오를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앞서 현재 한국의 고환율 현상의 가장 큰 이유인 정치적 불확실성이 진정되는 형국을 보여주지 않는다면 말이죠.
특히 대통령 탄핵이 기각되면 정치적 불안정성이 길어지며 환율은 더 오를 수 있고, 탄핵이 인용되더라도 혼란이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면 환율 하락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고환율,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여기서, 고환율이 지속되면 생기는 영향도 살펴봅시다. 환율이 높아지면 수출 기업들에게는 좋은 소식이 될 수 있습니다. 이전엔 10달러만큼을 팔면 10,000원을 벌 수 있었다면, 지금은 14,000원 이상을 벌 수 있기 때문이죠.
그러나 수입 원자재 가격이 올라 제조업(생산 비용 상승)과 내수 시장(높아진 상품 가격에 구매 의욕 저하)에는 악재가 될 수 있습니다.
주식시장도 당분간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높아 주의가 필요합니다. 리스크가 큰 주식 투자보단 채권 등 안전 자산으로 돈이 이동되기 때문입니다.
고환율 시대, 투자 전략
그렇다면 고환율 시대에 투자자들이 갖출 수 있는 전략을 살펴본다면, 안전 자산 확대, 환율 상승 수혜주, 저평가 우량주 매수 등이 있을 수 있겠습니다.
- 달러 자산 확대하기: 달러 예금이나 미국 국채와 같은 안전 자산으로 환율 리스크를 분산
- 수출주 주목하기: 반도체, 자동차, 조선 등 환율 상승 혜택을 받을 수출 기업 주식 투자를 고려
- 저평가 우량주 분할 매수: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와 관세 이슈 완화를 잘 관찰. 시장 변동성이 클 때 저평가된 우량 기업을 조금씩 매수하는 전략이 유효
위 의견은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투자의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며,
어떠한 결과에도 법적 책임 등에 대한 판단의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기업·시장 동향 > 시사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관세 발표 - 1경 원 증발한 증시 패닉, 금리 인하 압박 (1) | 2025.04.06 |
---|---|
윤석열 대통령 탄핵 - 주식, 환율, 부동산, 코인 전망 (2) | 2025.04.05 |
트럼프 관세 부과 - 콜롬비아 관세, 미국 내 영향, 장단점 (3) | 2025.01.28 |
국무총리 탄핵 가결과 경제적 여파 - 증시, 환율, 부동산, 가상자산 (16) | 2024.12.27 |
탄핵 가결, 헌재 판결 기간 경제 전망 - 주요 시장, 트럼프 행정부 등장 (38) | 2024.12.14 |